본문 바로가기
포트폴리오/기획서

'1강 게임제작 과정보기 : 게임캠퍼스 게임기획 캠프' 를 보고

by Hoほ 2024. 3. 2.

https://brunch.co.kr/@brunchizh0/267

 

1강 게임제작 과정보기 : 게임캠퍼스 게임기획 캠프

https://youtu.be/RSdlS4yLshQ?si=k5JZA-NjSjbJpe32​ 1강 게임제작 과정보기 : 게임캠퍼스 게임기획 캠프 http://gamecampus.org​ 카카오톡 문의 https://pf.kakao.com/_xcxfExjxl

brunch.co.kr

1. 게임 제작 과정 보기
프로토타입 > 알파 버전 > 베타 버전 > FGT 버전 > 클로즈 베타 테스트 > 오픈 베타

ㅁ 프로타입 
만들 가치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만들어보는 과정 
실제 플레이에 가깝게 만들어내는 단계
경영진을 설득할 수 있을 만한 아이디어를 내고, 제안서를 작성해햐 한다

ㅁ 알파 버전 
플레이에 더해 여러 콘텐츠를 추가하여 완성도를 높여가는 단계
개발 & 디자인 스펙을 정하고, 여러 레퍼런스를 제시하며 알아보기 쉽게 기획

ㅁ 베타 버전 
컨텐츠를 추가하면서 플레이를 즐길 수 있게 하는 단계

ㅁ FGT 버전
5~20명 게임 유저에게 테스트를 진행하는 단계
튜토리얼을 제작하고, 짧은 시간에 재미를 극대화시키는 요소를 추가

ㅁ클로즈 베타 테스트
소수의 대중에게 짧은 기간 테스트 서버를 내고, 의견 수령을 통해 버그를 수정하는 단계
재미없어 보이는 부분은 과감히 수정하며 시장 친화적으로 발전 

ㅁ 오픈 베타 테스트 
정식 출시를 의미 
꾸준한 업데이트 및 관리가 필요
유료 아이템 가격을 정하고 여러 밸런스를 픽스, 이벤트를 준비 


2. 게임 기획자가 하는 역할
기획 : 기획전달, 수정 사항 전달
아트 디자이너 : 리소스 전달
프로그래머 : 프로그래밍
QA : 테스트 진행

프로그래머 - 클라이언트, 서버, DBA
게임 기획자 - 시스템 기획, 콘텐츠 기획, 전투 기획, 레벨디자인, 시나리오 기획, 밸런스 디자인
아트 디자이너 - 원화, 애니메이션, 배경 3D 모델링, 이펙트 UI/UX

게임 기획자 
궁극적인 역할 : 애매한 것을 정하는 것 (게임 기획서는 설계도)
기본적인 업무 : 게임 시스템, 콘텐츠, 밸런스, 시나리오 


3. 그 밖에 게임 관련 직업 
게임 운영 관련 - GM, QA
게임 개발 관련 - 게임 기획, 프로그래머, 아트 디자이너, 사운드 디자이너
그 외 직업권 - 사업 PM, 마케팅, 경영, 홍보 

 

 하나의 게임은 정말 많은 리소스를 필요로 한다. 

 직업의 전문화 당연시되는 지금에야 개인적으로 시나리오 작가를 희망하는 것이지, 게임 기획 분야가 시나리오를 담당한다는 것만 보더라도 시나리오 작가를 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게임 기획에 대해 알아야 한다는 걸 알 수 있다. 또한 협업에 대한 중요성도 엿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