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게임이론/시나리오, 내러티브

'[이론과 실존으로 배우는 게임 시나리오] 4장 캐릭터' 를 보고

by Hoほ 2023. 8. 26.

https://www.google.com/search?gs_ssp=eJwBRwC4_woNL2cvMTFoMjZjMWJjbjABSjTsnbTroaDqs7wg7Iuk7KCE7Jy866GcIOuwsOyasOuKlCDqsozsnoQg7Iuc64KY66as7JikxJEnmw&q=%EC%9D%B4%EB%A1%A0%EA%B3%BC+%EC%8B%A4%EC%A0%84%EC%9C%BC%EB%A1%9C+%EB%B0%B0%EC%9A%B0%EB%8A%94+%EA%B2%8C%EC%9E%84+%EC%8B%9C%EB%82%98%EB%A6%AC%EC%98%A4&oq=%EC%9D%B4%EB%A1%A0%EA%B3%BC+%EC%8B%A4%EC%A0%84%EC%9C%BC%EB%A1%9C+%EB%B0%B0%EC%9A%B0%EB%8A%94+%EA%B2%8C%EC%9E%84+%EC%8B%9C%EB%82%98%EB%A6%AC%EC%98%A4&aqs=chrome.1.0i355i512j46i512j69i61l3.838j0j9&sourceid=chrome&ie=UTF-8

 

이론과 실전으로 배우는 게임 시나리오: RPG, AOS부터 VR/AR까지 게임에 필요한 ‘진짜’ 스토리텔

텍스트 의존은 그만! 게임 플레이를 통해 전달되는 ‘진짜’ 스토리 작성법 소설의 문법과 게임의 문법은 분명 다르다. 그 차이를 알고 작업하는 사람은 드물며, 심지어 자신이 만드는 게임을

www.google.com

 앞선 게시글에서 언급 됐었듯이 스토리 자체의 중요성 보다도 우리는 게임에 어울리는 스토리, 그리고 게임의 문법에 적합한 스토리 전달방법을 갈구해야 한다는 것을 알았다. 그에 이어져 재밌는 스토리와 그 전달에 있어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 캐릭터를 꼽을 수 있다는 것도 짧게 다뤘다.

 캐릭터는 곧 스토리이고, 스토리가 곧 캐릭터라는 말은 플레이어들은 캐릭터를 통해서 게임을 접하기 때문이다. 본 서적의 필자는 그러한 캐릭터와 플레이어 간의 관계를 게임 장르의 구분 기준으로 다루고 있을만큼 캐릭터는 중요하다고 생각해볼 수 있다.

 본 서적에서는 캐릭터를 하나의 항목으로 다루고 있다. 캐릭터 메이킹을 주로 공부하고 있는 본인이니 만큼 다른 항목은 약식하더라도 '캐릭터'에 대한 항목은 한 번 짚고 넘어가려 한다. 

 

게임 캐릭터의 구성 요소
1. 기능적 요소
전투가 있는 게임에서는 전투메커니즘이라는 기능적 요소를 지님 (전투의 작동원리)
 > 캐릭터가 어떤 전투를 할 것인가에 대해 생각하고 그 특성을 외형 설정과 스토리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스토리의 기능적 요소
 > 스토리에서 캐릭터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적 역할을 맡는다. (주인공의 친구, 주인공의 적대자 등)
 > 역할이 모호한 캐릭터라면 등장시키지 않는 것이 좋다.

2. 외면적 요소
외면적 요소란 외형을 뜻하는 것
캐릭터와 연관된 게임 시스템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 빠른 액션, 은밀함, 전사적인 과 같은 캐릭터, 게임 시스템 상의 설정에 부합하는 외형이 필요.
스토리상에서 설정한 캐릭터의 가치관이나 성격이 얼굴의 인상으로 드러날 수 있어야 한다. 

3. 내면적 요소
내면적 요소는 가치관과 성격이 대표적, 이는 대사와 행동을 통해 드러난다.
대사와 행동은 제대로 구축된 캐릭터에서 나온다는 점을 명시하자.


캐릭터 설계
어떤 필요에 의해 만들어지는 캐릭터인지 생각해야 한다.
 > 주인공 캐릭터라면 몰입도가 중요하기에 다른 어떤 캐릭터보다 몰입할 수 있는 캐릭터여야 한다.

스토리란 캐릭터가 주어진 갈등을 어떻게 해결해나가는지를 지켜보는 것, 그렇기에 스토리와 캐릭터를 완전히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다. 
캐릭터를 둘러싼 스토리의 각 요소들은 이유가 논리적 일수록 캐릭터의 일관성을 높일 수 있다. > 일관성은 캐릭터성의 또 다른 표현

모든 캐릭터는 자신만의 세계가 있으며, 그 세계에서 모두가 주인공이다. 
 > 다양한 캐릭터가 등장하는 스토리라면 모든 캐릭터가 방향성을 가지고, 나름의 주인공으로서 역할을 지녀야 한다.

설계의 요소 : 목표 설정, 외/내적 갈등 설정, 외형 설정, 능력 설정 등
캐릭터는 하나의 유기체이다. 각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작동할 수 있어야 한다.  

매력적인 캐릭터는 기본에 충실한 메이킹에서 시작된다. 
 > 체계적이며, 일관성을 가지고, 맥락을 갖추는 것이 필수적.

 

 이번 항목에서는 모든 캐릭터가 세계에서는 자신의 삶을 지내는 주인공이라는 말이 마음에 와닿았다. 

 많은 캐릭터들이 단편적인 역할을 위해 등장하고 사라진다. 현재 한국에서 양산되는 저질 영화들의 가장 큰 오점이 개인적으로 역할을 위해 기능적으로 사용되고 버려지는 인물이 편의에 맞춰 잔뜩 등장하는 점이라고 생각한다. 게임 또한 마찬가지이다. 많은 NPC들은 게임을 풍부하게 해주지만 그들이 자신의 삶이 없이, 단순히 주인공되는 캐릭터에게 특정 기능적 편의나 퀘스트를 제공하기 위해 존재하는 거라면 그들은 굳이 '캐릭터'로 존재할 필요가 없다. 오히려 인물로서 그 자리에 있는 건 거추장할 따름이다. 

 이처럼 캐릭터 하나를 만드는 데에는 신경 쓸 요소들이 많으며, 다들 나름의 역할을 이뤄내면서 공통적으로는 플레이어의 몰입에 제 기능을 해야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